분류 전체보기156 <코드 프레소 웹개발 트랙> Java 프로그래밍 초급 SW 개발 방법론 : 요구사항 수집 - 요구사항 분석 - 고 수준 설계 - 상세 설계 - 구현 - 테스트 구조적 방법론, 정보공학 방법론, 객체지향 방법론, 컴포넌트 기반 방법론, 애자일 방법론 각 방법론을 통해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 할 수 있음.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 코드를 그룹화 된 책임을 가진 객체를 중심으로 SW 설계/개발 패러다임이다. 다수의 객체가 각자 역할을 수행하고, 객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전체 시스템을 구성한다. 절차 지향 - 시스템의 행위에 집중한다. ( 동작하는 함수 설계/구현) 객체 지향 - 시스템에 참여하는 요소(객체)들에 집중한다. ( 객체의 속성과 기능 그리고 객체 사이 연결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 가지는.. 2022. 1. 17. HTML HTML (HyperText Makrup Language) (HyperText)하이퍼텍스트[링크]를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하는 (Markup) 마크업이라는 형식을 가진 (Lanugage)언어 : 웹 브라우저에게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만들어 달라고 서버에 요청하는 언어 Tag HTML의 강점 데이터를 어떻게 표현할지 선언하는 문법이다. : 시작 태그 , : 닫히는 태그 하이퍼 텍스트와 속성 속성 속성에 이름에 따라 그 기능이 정해져있고 , 순서는 상관하지 않는다. 속성을 통해서 태그로는 제한적이었던 추가적인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이퍼 텍스트 tag : 링크와 링크를 연결하는 하이퍼 텍스트 태그 즉, 링크를 만드는 태그이다. < href = "URL" target="_blan.. 2022. 1. 17. <코드 프레소 웹 개발 트랙> 실무자가 알려주는 Git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2] 브랜치 활용 Branch 브랜치는 왜 필요할까? 소프트웨어가 지속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개발 진행/완료 시점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해결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생성된다. branch의 활용 전략은 개인/조직마다 다를 수 있다. Branch 활용 전략 브랜치 활용 전략은 소스코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 이루어져야한다. 프로젝트의 모든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일관되고 생산적인 방식으로 조직에 맞게 프로세스화 시켜야한다. Branch 활용 전략 모델 feature별 branch 개발자별 branch 스프린트 주기별 branch ( 스크럼 ) 사내 검증 단계별 branch 브랜치 활용 전략 모델(방법론) : GitFlow GitFlow : 변경점을 반영하여 효율적으로 branch를 통해 관리.. 2022. 1. 15. <코드 프레소 웹 개발 트랙> 실무자가 알려주는 Git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 Git 브랜치의 이해 branch 란 ? 본래의 소스코드로부터 파생한 독립적인 작업 공간이다. 최신 커밋을 가리키는 일종의 포인터이다. 매우 가볍고, 생성-이동-병합이 매우 쉽다. 브랜치는 나눠서 사용하는 것은 해당 SW 개발팀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브랜치는 목적에 다라 분기가능하고, 전략은 조직에 따라 달라진다. master 브랜치 Git은 기본적으로 먼저 master 브랜치를 생성하고 시작하게 된다. Git Branch 실습 > 처음 git brnach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무것도 뜨지 않는다. > master 브랜치는 첫 커밋이 생성되어야 포인터로 그 커밋을 가리키게 된다. > 새로운 커밋을 반영하여 addm commit 한 뒤 git branch를 입력해보자 > 새로운 master branch.. 2022. 1. 14.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