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56 Git (4) : 버전관리 버전 관리 Jam-git 디렉터리에 f1.txt파일의 버전을 작성해보겠습니다. git commit 명령어를 실행시킵니다. 그 후 열려진 창에서 commit 메시지를 추가해서 version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git log를 통해서 이때까지 작업한 버전에 대한 내용도 살펴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엔 f1.txt를 수정하고 add한 뒤 새로 commit 해 보겠습니다. 새로 추가된 텍스트 내용을 기반으로 f1.txt파일의 버전이 업데이트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고, 버전의 소유자와 날짜등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번엔 새로운 f2.txt , f3.txt파일을 각 각 생성하고 버전 관리를 진행해보았다. 새로운 f.txt 0.0.3 ver이 추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 이후 각 텍스트.. 2021. 7. 8. Git (3) : git 기본 명령어 git에서는 gitignore이라는 파일을 통해서 git에 tracking하지 않고싶은 파일들을 지정하여서 설정할 수 있다. *.log -> 모든 로그를 추가하지 않는다 build/ --> build 디렉터리 안의 파일은 추가하지 않는다 등 .gitignore폴더에 이를 명시하면 명시된 파일은 tracking되지 않는다. git status -s를 통해서 각 파일들이 어떤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A : access로 staging area에 추가되었음을 뜻한다. ?? : 아직 tracking이 되지않고 working dir 안에 존재 AM : staging area에 추가되고 modified되어 수정본이 working dir에 존재한다. git diff를 사용하면 수정된 파일의 내용을 자세하기 출력하.. 2021. 6. 30. Git (2) : git의 workflow 저 같은 경우에는 드라이버 밑에 project라는 폴더안에 git이라는 폴더에서 git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깃을 초기화하기 위해서는 git init 명령어를 통해서 폴더안에 git 프로젝트로 만들 수 있습니다. GIT에는 총 3가지의 workflow로 구분되어 진다. 1. working directory : 작업하고 있는 공간 2. staging area : 저장할 준비를 위해 파일을 옮겨놓는 공간 3. .git directory : commit을 통해 staging area에서 넘어온 버전의 history를 가지는 공간 -저장된 history는 check out 명령어를 통해 작업 공간으로 불러들일 수 있다. 하지만 위의 workflow는 내 컴퓨터에 대해서 저장되기 때문에 컴퓨터에 문제가 발생 시 .. 2021. 6. 30. Git (1) - 초기 설정 VCS(Version Control System) :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하고 특정 시점의 버전을 다시 꺼내올 수 있는 시스템이다. 코드 뿐만 아니라 텍스트, 이미지 파일 등을 함께 관리할 수 있다. VCS 이전에는 따로 폴더를 두어서 버전을 수동적으로 관리하여 저장하는 체계를 사용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CVS, Subersion과 같은 Centralized Version Control과 같은 서버에 히스토리를 관리하면서 각각의 개발자들이 서버를 통해 동기화를 진행하였는데, 서버의 장애가 발생 시 각각의 개발자들의 작업에 모두 지장이 간다는 단점이 존재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istributed version Control이 발전하게 되었다. 이는 각 개발자들이 히.. 2021. 6. 29. 이전 1 ··· 36 37 38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