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6

함수 함수 def 파이썬 함수의 기본 구조 def 함수명(매개변수) : .... return 반환값 매개변수는 N개 이상 설정할 수 있고 결과값은 없거나 하나이다. 입력값이 없이 단순히 함수 자체를 call했을 때 특정한 행동을 하는 입력값 없는 함수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결과값 없이 입력한 내용에 대해서 단순히 출력하거나 메시지를 나타내기 위해 결과값이 없는 함수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 둘을 합친 매개변수&결과값이 없는 단순한 함수도 사용가능하다. 함수 호출 시 인수를 지정하여 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함수 선언시에 매개변수를 초기화할 수 도 있다. def add(a, b) return a + b >>> result = add(a=3, b=7) # a에 3.. 2021. 7. 26.
Greedy 주로 교제에서 "탐욕법"이라고 소개되는 그리디(Greedy) 알고리즘은 단순하면서 강력한 해결 방법이다. 탐욕법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미래 상황을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현재 상황에서 제일 최선의 것을 고르기 때문이다. 즉 현재의 상황에서만 고려하고 이 선택이 미래에 불러올 영향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그리드 알고리즘은 최적의 해를 도출한 가능성이 낮다. 현재의 상황에 대해서만 판단하기 때문에 주기가 긴 코드에 대해서 현재의 선택이 미래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리디 알고리즘을 통해서 문제해결책을 세웠다면, 그 해법이 옳은지 검증해야 한다. 아래에 나올 동전 문제에 대해서는 동전 중 큰 단위가 항상 작은 단위의 배수임이 확신되므로, 작은 단위의 동전을 종합해 다른 해가 나.. 2021. 7. 25.
반복문 ( for , while ) for 파이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반복문은 for문 , while문 종류가 있다. 파이썬에 for문은 반복문은 시퀀스를 이용하여 명령을 반복한다. 먼저 for문의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다. for 변수 in [ 리스트 or 튜플 or 문자열 ] : 실행할 코드 ... 이 때 for문 변수를 2개 이상으로 설정 가능하다. 물론 이 때, in안의 반복되는 시퀀스도 2개 이상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list = [ (1, 2), (3, 4), (5,6) ] for (f, b) in list: 실행할 코드 .... 이 예시에서 in 뒤에 튜플 2개 값을 하나의 시퀀스로 가지는 리스트를 받고있다. 따라서 한 번의 반복을 돌 때마다 변수 2개가 할당 가능하다. 이때 f에는 튜플의 첫번째 값 , 그리고 .. 2021. 7. 24.
Git (10) : reset 이력 되돌리기 ( RESET) 지금까지 우리는 커밋을 통해서 파일의 버전들을 관리하는 방법들을 GIT을 이용해 실습을 진행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커밋들은 순차적으로 트리형식으로 저장되어 각 커밋은 이전 커밋으로 돌아갈 수 있는 "스냅샷"을 가지고 있다. 이제는 이렇게 관리되어진 commit들을 통해 이전의 commit으로 되돌리는 RESET에 대해서 학습하자 협업 프로젝트나 개인 프로젝트에서 어떤 수정본을 작업하다가 보면 수정을 하는 방향의 접근이 잘못되어 이전의 버전으로 commit을 되돌리고 새롭게 작업을 시작할 일이 자주 생긴다. 이 때 우리는 commit msg들을 통해서 commit id나 file name을 통해서 제일 최근의 commit이나 특정한 commit으로 복귀할 수 있다. GIT은.. 2021.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