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6

Git (8) : stash (임시저장) Stash branch의 작업 내용을 마치지 못하고 다른 branch로 checkout하기 위해서는 현재 작업을 commit해야한다. 이 때 Stash를 사용하면 이 때까지의 작업 내용을 숨겨둘 수 있다. Stash는 명시적으로 삭제하지 않는 이상 숨김 처리로 스택에 보관되어진다. 하지만 조건이 있는데, git stash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working directory에서 수정한 파일들만 저장가능하다. 즉 untracked되어진 파일들은 저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stash에는 수정되어진 Tracked 파일, 수정되어 staging area에 위치하는 파일 등이 저장된다. 작업 임시 저장하기 ( git status or git staus save ) 현재 f2.txt라는 modified된 untr.. 2021. 7. 18.
Git (7) : branch & merge git의 기본 분기 및 병합 ( 참고 : https://git-scm.com/book/en/v2/Git-Branching-Basic-Branching-and-Merging ) git의 분기에는 fast forward 분기(빨리감기) , recurcive merge 분기로 나눌 수 있다. 먼저 C0 ~ C2까지 master branch에서 커밋하며 작업을 수행했다고 가정하자 이 때 어떤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 새로운 분기점 즉 새로운 branch를 만들고 동시에 전환하여서 그 branch에서 작업을 수행하려고 합니다. $git branch iss53 $git checkout iss53 그 후 문제에 대해서 해결하기 위해서 "iss53" 분기에서 커밋을 생성해가면서 작업을 진행합니다. $ git commi.. 2021. 7. 17.
Git (6) : branch branch 원본 파일에 수정을 진행하면서 f_ver1 -> f_ver2 처럼 버전을 관리하다가 특정 상황에서 목적에 따라 버전이 2가지 이상으로 나누어질 때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고객전용 파일, 개발자 전용 파일등으로 나누어서 관리한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위의 그림과 같이 2가지 파일의 버전을 따로 관리해야 한다. 이렇게 다른 목적에 의해 원본 파일이 분기되고 수정되어 관리되는 과정을 git에서 branch라고 한다. 추가로 두 가지 파일을 합쳐서 새로운 버전을 만드거나 버전을 통합시켜서 다시 관리할 수 있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용어를 정리하면 , 한 원본 파일이 2가지 이상으로 분기되는 현상을 branch를 만든다고 하고 각 branch는 새로운 branch와 원래부터 유지하던 작업은 .. 2021. 7. 12.
Git (5) : Reset , Revert 기초 버전 관리 git log에는 다양한 옵션이 존재한다. 이 때 git log -p옵션은 각 각의 commit 사이에 소스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코드를 살펴보면 각각의 버전에서 어떤 내용들이 수정되었는지 알 수 있다. f.txt ver 0.0.4 .. diff --git a/f1.txt b/f1.txt index f3ce2e4..e492257 100644 --- a/f1.txt +++ b/f1.txt @@ -1,3 +1,4 @@ Hello git! Hello HanJaemin! Hello World! +f_world = 0 버전 4의 내용을 살펴보자 ----a/f1.txt는 버전3에서의 f1.txt파일을 가리킨다. 따라서 b/f1.txt는 수정 되어진 새로운 f1.txt.파일을 나타낸다 @@내용을 통해 .. 2021. 7. 9.
반응형